QUICK MENU

공지사항

공지사항 2018-05-12T16:02:35+00:00

15년만에 다시 치료하는 의사분(노벨상 이야기)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0-04-30 07:51
조회
2854

그저께는 좀 특별한 날 이었다.
요사히는 바이러스 때문에 구환들은 거의 오지를 않는다.
그런데 신환들은 본인들이 힘드니 이런 와중에도 병원을 찾는다.
그저께는 구환은 1명, 신환 2명이 예약이 되어있었다.
그중의 한 분이 나중에 이야기를 들어보니 15년 전에 치료가 끝난 전북의대 출신의 남자의사였다.
이 의사분은 그동안 잘 지내다가 최근에 만성피로, 안구건조증, 수면장애, 어깨 통증 등이 너무 심해서 바이러스가 아직 남아있지만 저에게 왔다고 하였다.
그중에도 안구 건조증이 제일 힘들다고 하였다.
본인이 의사이니 안구건조증 같으면 안과로 가야 하는 것을 누구보다고 더 잘 알텐데 저를 찾아온 것이다.
그러면서 바로 치료를 받겠다고 하였다.
그러면서 자기를 알아보시겠느냐 해서
“아주 특별한 환자라서 잘 기억을 하고 있습니다.”라고 하였더니 좋아하였다.
이 환자는 제가 다른 환자들에게 저의 책을 잘 보고 오라고 하면서 자주 이야기하는 그 환자다.
재치료를 하는 것이라서 이런 경우에는 우리 치과에서는 치료비의 2/3를 받는데 나중에 보니 치료비 650만원도 완불을 하고 가셨다.
같은 시간에 온 환자는 30년 이상을 턱관절을 연구하고, 자기 가족들도 턱관절치료를 한 유명한 A치과에서 몇 년 동안 턱관절치료를 위해서 교정치료를 받았으나 몸은 더 나빠져서,
또 저와 같은 방법으로 하는 B치과에서 다시 턱관절치료를 2달간 받다가 효과가 마음에 안들어
왔다고 한 남자 환자다.
이 학생은 그동안 여러 유명한 치과에서 치료를 받았으나 효과를 보지를 못해서 치료를 받는 것을 망설였다. 그러나 어머니의 강력한 권유로 치료를 시작했다.
이 환자의 어머니는 이번에는 기도를 하면서 마지막으로 생각하고 왔다고 하시면서, 여기서는 아들이 꼭 치료가 될 것으로 믿는다고 하셨다.
나는 다시 치료를 받는 전주에서 오신 의사분에게는 다음 주에 장치를 착용하면 바로 효과를 볼 가능성이 90% 이상 미리 이야기를 해주었으나, 이 학생에게는 “앞의 A, B치과에서 많이 흐트려 놓았기 때문에 아주 어려운 케이스다” 라고 미리 이야기를 해주었다.
나는 흐트러진 실을 풀어가는 마음으로 치료를 한다. 물론 열심히 하면 좋아 질수는 있겠지만 아주 복잡하고 험한 길인 것 같다. 그러니 “저의 치료를 전적으로 믿고 따라올 생각이 없으면
아예 다른 병원을 가보시라“라고 하였다.
그랬는데도 어머니께서 간절히 원하셔서 치료를 시작하였다.
의사분은 바로 디자인을 해서 기공소에 보냈지만, 이 학생의 모델은 아직도 내 책상위에 있다.
A.B 치과에서 치료하기전의 모델,사진을 모두 가져 오시라고 하였다.
손을 대기 전의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저의 진단과 치료계획을 세우는데 제일 중요하기 때문이다.
턱관절에 조금 문제가 있어서 교정을 시작했는데 이렇게 더 고생을하고 있는 것이라서 참 안타깝다. 지금도 의사와 환자가 원인도 모르고, 시간, 돈, 건강을 해치면서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가 상당히 많다고 본다.
내가 보기에 너무나 안타깝다.

의사환자의 양해를 구하고서 같이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 의사분은 그 당시 완주에서 개업을 하고 있다가 저에게 치료를 받기 위해서 병원을 폐업을 하고 서대문 보건소에 취직을 한 특별한 환자다.
저의 책을 의대 교과서를 옆에 놓고서, 밑줄을 그의 가면서 3번을 정독해서 저의 책이 너덜 너덜 하다고 한 분이다.
이 번에 저의 책을 서점에서 구하려니 절판이 되어서 못 구했다 하셔서 제가 드렸다.
삶과 꿈이라는 출판사는 그 당시 큰 출판사였고, 삶과 꿈에서 적극적으로 저의 책을 기획 출판을 원하였고, 이름도 마음에 들어서 허락을 한 출판사인데 요사히 모든 출판사가 어렵다고 한다.
“보건소에 오는 환자들의 70% 이상이 선생님의 치료가 필요하다고 봅니다” 라고 한 분이다.
의대 다닐 때 교수님에게 궁금해서 물어보아도 답을 듣지 못한 것이 저의 책에 있다 한 분이다.
이런 모든 이야기를 같이 치료를 시작한 남학생과 어머니 앞에서 이야기를 했더니 “선생님께 전에 한 이야기가 맞습니다.” 하였다
그러면서 바이러스가 진정이 되면 제일 먼저 자기 집사람을 데리고 와서 치료를 받겠다고 하였다.
바이러스가 없어도 하루에 신환 2명이 바로 치료를 시작하기가 쉽지가 않는데,
이 시국에 구환 1명, 신환 두 명만 치료를 시작하고 퇴근을 했다.
참 특별한 날이었다.

*Doctor Comment

그 당시 호주의 내과 레지턴트였던 배리 마셜(54·왼쪽)은 2005년 노벨상을 받았다.
기억이 가물거리지만 1990년대 후반에 리더스다이제스트에 마셜이 헬리코 박테리아가 소화기궤양의 원인균이라는 주장에 대해서 의학계에서 냉소를 보낸다는 기사를 보고서 동병상린의 마음이 들어서 제가 강의를 할 때 이 기사를 슬라이드로 자주 보여주었다.
"1982년 헬리코박터균의 발견은 비범하고도 기대를 뛰어넘은 것"이라며 "치료가 불가능한 것으로 여겨졌던 소화기 궤양이 두 박사의 연구 덕분에 간단한 처방으로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며칠 전 지방에서 와서 15년만에 다시 치료를 받는 의사와 여러 가지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다.(이 환자는 유지장치를 그동안 착용하지 않아서 만성피로 등으로 다시 치료를 받고 있다.
나는 밤에 잘 때는 평생 유지장치를 끼라고 한다. 이유는 치아와 뼈는 평생 움직이기 때문이다)
이 의사분은 우리 치료를 받기위해서 지방의 병원을 폐업을 하고서 서대문 보건소에 취직을 한 특별한 분이다.
저의 책도 3번을 정독한 환자다.
오래전에 “SBS TV 그것이 알고 싶다”프로에 저의 치료법이 나간 뒤에 지방치대를 수석으로 졸업한 저의 환자였던 여자치과의사가 저에게 보낸 편지에서 “황박사님은 노벨의학상을 받아야 하실 분입니다.”라고 하였다.
지금도 이 편지를 보관하고 있다.
이 이야기를 이 의사분에게 이야기를 해주었더니 “헬리코박테리아의 발견으로 소화기 궤양치료에 큰 도움을 준 것으로 노벨상의학상을 받았다면, 선생님의 치료는 심신의 건강에 엄청난 영향을 주는 치료이므로 노벨상 100개를 받아도 모자란다고 봅니다.”라고 하였다.
이런 이야기를 일반 환자가 한 경우도 있지만, 이번에는 의사들이 이런 이야기를 하니
저의 치료의 중요성을 한 번 믿어보셔도 되지않을까 생각해본다.
전체 0